분류 전체보기 28

컴활 1급 필기 8일차

안녕하세요. 다들 명절 잘 보내셨나요? 푹 쉬고 다시 돌아왔습니다!오늘도 역시 컴활의 정석님의 2.11강 강의 내용을 정리해봤어요!다음에는 복습 겸 part 2 의 영상으로 1,2과목 먼저 하려고 합니다!매크로&VBA매크로반복되는 작업을 자동화하는 기능매크로를 기록하는 경우 작업을 완료하는데 필요한 모든 단계가 매크로 레코더에 기록(리본 메뉴에서의 탐색은 기록되지 않음)매크로를 실행할 바로가기 키 지정 가능엑셀의 기본 바로가기 키와 동일한 경우, 매크로의 바로가기 키가 우선 실행된다.매크로 저장 위치개인용 매크로 통합 문서 : 'Personal.XLSB'에 저장되며, 엑셀을 시작할 떄마다 자동으로 로드되어 다른 통합 문서에서도 실행할 수 있다.새 통합 문서 : 새로운 통합 문서 창을 열고 매크로를 지정한..

컴활 1급 필기 7일차

오늘도 컴활의 정석님의 유튜브 강의 2.9~2.10 강을 공부해봤습니다. 공부하면서 따라 적은 내용들입니다!차트차트의 구성 요소차트 영역 : 차트 전체를 의미그림 영역 : 가로축과 세로축으로 둘러싸인 영역차트 제목세로(값)축 제목가로(항목)축 제목세로(값)축 : 데이터 계열을 포함하는 값을 숫자로 나타낸 것범례 : 데이터 계열의 무늬 및 색과 데이터 계열의 항목명을 표시범례 표지데이터 표 : 차트의 원본 데이터를 표시데이터 레이블 : 데이터 요소를 대상으로 데이터의 값이나, 요소 등의 정보 표시오차 막대 : 오차량을 그림으로 표시추세 선 : 특정한 데이터 계열의 변화하는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표시하는 선특징추세선의 종류에는 선형, 로그, 다항식, 거듭제곱, 지수, 이동평균 6가지 종류하나의 데이터 계열에..

컴활 1급 필기 6일차

오늘은 컴활의 정석님의 강의 2-7~2.8강 강의를 공부했어요!우선 2-11강까지 정주행하고 한번 1.1~2.11강까지 다시 간단하게 복습하고시나공으로 테스트하고 오답노트를 통해 조금씩 복습하고 3강까지 끝내고 필기 볼예정이예요!오늘도 정리한 걸 적어봅시다!데이터 관리 1정렬대/소문자 구분 가능방향위쪽에서 아래쪽(행 단위) : 열을 기준으로 정렬왼쪽에서 오른쪽 (열 단위) : 행을 기준으로 정렬숨겨진 행이나 열은 정렬에 포함되지 않음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정렬 가능정렬 기준은 최대 64개까지 지정 가능정렬 방식오름차순 : 숫자 -> 영문자(소문자 -> 대문자) -> 한글 -> 논리 값 -> 오류 값 -> 빈셀(공백)내림차순 : 오류 값 -> 논리 값 -> 한글 -> 영문자(소문자 -> 대문자) -> 숫자 ..

컴활 필기 1급 5일차

안녕하세요~오늘도 유튜브 컴화의 정석님의 강의를 보고 시작했습니다.오늘은 2.6강 함수(3) 파트 부분만 했어요! 함수는 어렵네요 ㅠㅠ 나중에 다시 복습해야할 거 같아요! ㅎㅎ 함수 3배열 수식 : 대응하는 영역을 수식에 사용해 복잡한 조건을 계산하는 수식배열수식 작성 시 마지막에 Ctrl + Shift + Enter를 눌러 완성한다.열은 콤마 (,)를 사용하여 구분하고 행은 세미콜론(;)을 사용하여 구분한다.배열 수식에 사용되는 배열인수는 동일한 행과 열을 가져야 한다. (배열의 형태가 동일해야 한다.)배열 수식의 정형화된 형태합계SUM조건 1개SUM(조건 * 값을 구할 범위)조건 2개SUM((조건 1) * (조건 2) * 값을 구할 범위)SUM, IF조건 1개SUM(IF(조건, 값을 구할 범위))조건..

컴활 1급 필기 4일차

오랜만에 돌아왔습니다! 이어서 공부를 시작했어요!오늘은 2과목 컴활의 정석님의 2-1강 ~ 2-5강까지의 내용을 정리했습니다.입력 및 편집데이터문자 데이터한글, 영문, 문자와 숫자가, 혼합된 데이터, 특수문자 등셀의 왼쪽에 정렬숫자 데이터 앞에 작은 따옴표(')를 입력하면 문자데이터로 인식수치 데이터셀의 오른쪽에 정렬분수는 0을 입력하고, 한 칸 띄운 다음에 입력날짜/시간 데이터날짜와 시간을 같은 셀에 입력할 때는 날짜 뒤에 한 칸 띄우고 시간 입력날짜는 하이픈(-)이나 슬래시(/)를 이용하여 구분시간은 콜론(:)을 이용하여 구분날짜는 1900-01-01을 일련번호 1로 시작한다.즉, 날짜는 일련번호로 저장날짜에 연도를 두 자리수로 입력00~29 = 2000~2029년30~99 = 1930~1999년Ct..

필기 1과목 오답노트 시나공 1~10회차

필기 2024 1회 - 85점2번 문제 - 2번(오답), 정답 3번3D 프린터입력한 도면을 바탕으로 3차원 입체 물품을 만들어 내는 프린터이다.인쇄 원리는 잉크를 종이 표면에 분사하여 2D 이미지를 인쇄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원리와 같다.출력 단위로는 MMS로 사용된다.기계, 건축, 예술, 우주 등 많은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으며, 의료 분야에서도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IPM(Images Per Minute)과 PPM(Pages Per Minute)은 잉크젯 및 레이저 프린터의 출력 단위입니다13번 문제 - 4번(오답), 정답 2번사물 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라고도 하며 개인 맞춤형 스마트 서비스를 지향한다.스마트 센싱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을 융합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

컴활 1급 필기 3일차

오늘도 컴활의 정석님의 유튜브 강의를 보며 정리했습니다.1.8~1.10강의 내용을 정리했습니다.인터넷 주소 관련IP 주소 : 컴퓨터의 모든 자원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의 주소IPv410진수로 표기주소는 32비트(8비트 4개)로 구성 되고, 마침표로 구분주소는 A클래스 ~ E 클래스로 구분8비트 -> 0~255(10진수, 256개) x 4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전송방식이 있다.IPv6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IPv4에 비해 전송속도가 빠르고 IPv4와의 호환성도 뛰어남16진수로 표기주소는 128비트(16비트씩 8개)로 구성되고, 콜론으로 구분인증성, 기밀성, 데이터 무결성의 지원으로 보안 기능을 포함한다.실시간 흐름 제어가 가능하다.앞자리의 0은 생략할 수 있다.유니캐스트, 애니캐스트,..

컴활 필기 2일차

안녕하세요!오늘도 간단하게 컴활의 정석님의 유튜브 강의 1.6~1.7강의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Window 10휴지통휴지통의 파일이 실제 저장된 위치는 일반적으로 C:$Recycle.bin휴지통의 용량이 초과된 경우, 가장 오래전에 삭제된 파일부터 삭제휴지통의 파일은 이름을 변경하거나 실행 파일을 실행할 수 없다휴지통을 디스크마다 따로 설정할 수 있다.휴지통에 보관 되지 않는 경우(바로 삭제)Shift + 삭제휴지통 속성에서 파일을 휴지통에 버리지 않고 삭제할 때 바로 제거를 선택한 경우USB, 네트워크 드라이브, DOS 모드에서 삭제된 파일휴지통 속성에서 파일이나 폴더가 삭제될 때마다 삭제 확인 대화상자가 표시되지 않도록 설정 할 수 있다.기본 프린터특정 프린터를 지정하지 않고 인쇄명령을 내릴 경우 자..

컴활 필기 1일차

이번에 컴활 필기 공부를 시작했습니다.유튜브 컴활의 정석님의 강의를 보고 시작하여 1.1강~1.5강까지 내용을 적으며 진행했습니다.아래처럼 정리해봤어요!중앙 처리 장치(CPU) 는 컴퓨터의 시스템을 통제하고 프로그램의 연산을 처리하는 장치이다.중앙 처리 장치에는 제어 장치, 연산 장치, 레지스터가 있다.제어 장치: 동작을 지시하고 제어하는 장치이다.프로그램 카운터(PC) :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기억하는 레지스터다.명령 레지스터 : 현재 실행 중인 명령의 내용을 기억하는 레지스터다.명령 해독기(디코더, Decorder) : 명령어를 해독한다.부호기(인코더, Encorder) : 해독된 명령에 따라 각 장치로 보낼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연산 장치 : 실제로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가산기 : 덧셈을 수..

expo 모달 사용해보기

오늘은 모달을 사용해봅시다. 모달 · 네이티브 반응 (reactnative.dev) Modal · React NativeThe Modal component is a basic way to present content above an enclosing view.reactnative.dev여기에 잘 나와있어용! 저는 따로 빼서 base모달을 만들어뒀습니다, import { View, Modal, StyleSheet } from "react-native";import React from "react";interface BaseModalProps { isOpen: boolean; onClose: () => void; children?: React.ReactNode;}export default funct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