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에 컴활 필기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유튜브 컴활의 정석님의 강의를 보고 시작하여 1.1강~1.5강까지 내용을 적으며 진행했습니다.
아래처럼 정리해봤어요!
- 중앙 처리 장치(CPU) 는 컴퓨터의 시스템을 통제하고 프로그램의 연산을 처리하는 장치이다.
- 중앙 처리 장치에는 제어 장치, 연산 장치, 레지스터가 있다.
- 제어 장치: 동작을 지시하고 제어하는 장치이다.
- 프로그램 카운터(PC) :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기억하는 레지스터다.
- 명령 레지스터 : 현재 실행 중인 명령의 내용을 기억하는 레지스터다.
- 명령 해독기(디코더, Decorder) : 명령어를 해독한다.
- 부호기(인코더, Encorder) : 해독된 명령에 따라 각 장치로 보낼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 연산 장치 : 실제로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
- 가산기 : 덧셈을 수행하는 회로
- 보수기 : 뺄셈 작업을 위해 입력 값을 보수로 변환하는 회로
- 누산기 :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
- 데이터 레지스터 : 연산에 사용될 데이터를 저장
- 상태 레지스터 : 연산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를 저장
- 레지스터 : CPU 내부에서 처리할 명령이나 연산의 결과값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억장치
- 레지스터는 메모리중에 속도가 가장 빠르다.
- 플립플롭이나 래치로 구성된다.
-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MAR) : 데이터의 주소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 (MBR) : 데이터를 임시로 기억하는 레지스터
- 주기억장치 : CPU에 직접 접근하여 데이터를 교환하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장치
- 롬(ROM, Read Only Memory)
- 읽기 전용, 비휘발성 메모리(전원이 꺼져도 내용이 지워지지 않음)
- 롬에는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 글자 폰트, 펌웨어 등이 저장되어 있다.
- 바이오스(BIOS, Basic Input Output System)
- 기본 입출력 시스템 = 롬 바이오스
- 기본 입출력 장치나 메모리 등 하드웨어 작동에 필요한 명령을 모아 놓은 프로그램이다.
- 전원이 켜지면 POST(Power On Self Test)를 통해 컴퓨터를 점검하고 사용가능한 장치들을 초기화 한다.
- CMOS에서 설정 가능한 항목
- 시스템 날짜와 시간
- 하드디스크 타입
- 부팅 순서
- 시스템 암호
- 칩셋 설정
- 펌웨어 (컴파일러 방식)
- 하드웨어의 동작을 지시하는 소프트웨어지만,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되어 있음(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중간적 성격)
- 주로 ROM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어 하드웨어를 제어-관리하는 역할
-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 만으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
- ex) 노트북 - 펌웨어
- 바이오스(BIOS, Basic Input Output System)
- 램(RAM, Random Access Memory)
- 자유롭게 읽고 쓸 수 있는 기억장치
- 휘발성 메모리(전원이 꺼지면 내용이 사라짐)
- 일반적으로 주기억장치라고 하면 램(RAM)을 이야기한다.
- S(Static)RAM
- 속도가 빠르고 값이 비싸며 캐시메모리에 주로 사용
-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기억 내용 유지(안정적)
- D(Dynamic)RAM
- 전원이 공급되어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전하가 방전되므로 주기적인 재충전이 필요
- 값이 저렴 -> 일반적인 주기억장치에 사용
- 롬(ROM, Read Only Memory)
- 기타 기억 장치
- 캐시메모리
- 중앙처리장치(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서 속도 차이를 개선하는 메모리
- 속도가 빠르고 비싼 SRAM으로 구성
- 가상메모리
- 보조기억장치의 일부를 마치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메모리(기법)
- 연관메모리
- 저장된 내용의 일부를 이용하여 기억장치에 접근해서 데이터를 읽는 방식
- 버퍼(임시) 메모리
-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해두는 공간(메모리)
- 플래시메모리
- MP3플레이어, 디지털카메라, USB등에 널리 사용한다.
- EEPROM의 일종으로 비휘발성 메모리
- Electrically Erasable ROM(전기적인 방법으로 기록된 내용을 수정할 수 있다.)
- 캐시메모리
- 운영 체제
- 컴퓨터와 사용자 사이에서 중계자 역할을 한다.
- 좋은 운영 체제란?
- 처리 능력 - 처리능력이 좋을수록
- 신뢰도 - 일을 정확히 처리할수록
- 사용가능도 - 즉시 사용 가능할수록
- 응답시간 - 결과를 얻을 때까지의 시간이 적을수록 (반비례)
- 운영체제(OS)의 기법
- 일괄 처리 시스템
- 데이터를 모았다가 한번에 처리하는 방식
- 실시간 처리 시스템
-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방식
- 시분할 처리시스템
- CPU를 일정 시간 단위로 나누어 처리하는 시스템
- 다중 처리 시스템
- 두 개 이상의 CPU가 가동되면서 처리하는 시스템
- 다중 프로그래밍 방식
- 하나의 CPU로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처리하는 방식이다
- 분산 처리 시스템
- 물리적으로 떨어진 여러 대의 컴퓨터에 작업을 분담하여 처리하는 방식
- 듀얼 시스템
- 두 개 이상의 CPU가 동시에 같은 업무를 처리하는 방식
- 듀플렉스 시스템
- 한 개의 CPU는 가동되고 다른 CPU는 대기중인 방식으로 CPU가 고장나면 다른 CPU가 작동하는 방식
- 임베디드 시스템
- 하나의 하드웨어에 프로그램이 결합되어 있는 시스템
- 즉,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결합되어 특정 기능에 맞게 특화되어서 제품 자체에 포함된 운영체제
- 일괄 처리 시스템
- 자료의 표현
- 문자 표현 코드
- BCD코드(2진화 10진)
- 하나의 영문자를 2개의 Zone 비트와 4개의 Digit 비트로 표현 (2^6 = 64가지의 문자 표현)
- 영문 소문자는 표현하지 못함
- ASCII(아스키) 코드
- 하나의 문자를 3개의 Zone비트와 4개의 Digit 비트로 표현 (2^7 = 128가지의 문자 표현)
- 미국 표준 코드로써, 데이터 통신용에 주로 사용
- 확장 아스키코드가 존재
- 8비트를 사용 (2^8 = 256가지 문자)
- EBCDIC코드(확장 2진화 10진)
- BCD 코드를 확장한 것이다.
- 하나의 문자를 4개의 Zone 비트와 4개의 Digit비트로 표현(2^8 = 256가지 문자 표현)
- 특수문자 및 소문자 표현이 가능
- 주로 대형 컴퓨터에서 사용
- 유니코드
- (확장) ASCII코드를 16비트(2바이트)로 확장하여 전세계의 모든 문자를 2바이트로 표현하는 국제 코드(2^16 = 65,536가지의 문자 표현)
- 한글은 조합령, 완성형, 옛글자를 모두 표현 가능
- 오류 검출 코드
- 패리트 비트 : 오류검출 가능, 교정 불가능
- 해밍 코드 : 오류 검출 가능, 교정 가능
- BCD코드(2진화 10진)
- 숫자 표현방식
- 2진수, 8진수, 16진수 -> 10진수
- 숫자 각 자릿수 x N진수를 모두 더하기
- 10진수 -> 2,8,16진수
- 숫자 / N진수 (N진수로 나누어 더 이상 나눠지지 않을 때 까지 나누고, 몫을 제외한 나머지를 역순으로 표시한다.)
- 8진수 <-> 16진수는 바로 변환 할 수 없다.
- 2^N N만큼 비트가 필요
- 2진수, 8진수, 16진수 -> 10진수
- 문자 표현 코드
반응형
'컴활공부중.. > 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활 필기 1급 5일차 (5) | 2024.09.11 |
---|---|
컴활 1급 필기 4일차 (3) | 2024.09.10 |
필기 1과목 오답노트 시나공 1~10회차 (7) | 2024.09.02 |
컴활 1급 필기 3일차 (5) | 2024.09.02 |
컴활 필기 2일차 (0) | 2024.08.28 |